•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강약사
  • 조회 수 4656

raw-dog-food-diet.jpeg

최근 몇년사이 반려동물의 생식에 대한 관심도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아마도 저급사료에 대한 불신과 함께 내 아이에게 조금이라도 더 건강한 음식을 급여하고자 하는 보호자분들의 바램이 크기 때문일 것입니다. 하지만 늘어가는 생식의 인기만큼 생식에 대한 논란도 많은것이 사실입니다.

 

사실 반려동물에게 조리하지 않은 생식을 권장하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1993년 호주의 수의사 Ian Billinghurst 는 반려동물에게 급여하기 간편한 '상업용 건사료' 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반려동물의 건강을 위해 적합한 영양을 공급해야 한다며 이른바 BARF 식단을 권유하기 시작하였습니다.

dr_billinghurst_and_maggie.jpg

BARF 식단이란 Bones and Raw Food 혹은 Biologically Appropriate Raw Food 를 의미하는 말로 동물의 진화과정에서 오는 식습관에 기반한 가장 적합한 식단을 뜻한다고 합니다.

 

실제로 아이들에게 꾸준히 생식을 급여해온 결과 오랜기간 고생했던 소화기 질환 및 알러지 질환의 증상개선에 효과를 보았다거나 피부,피모가 좋아지고 대변의 양이 적고 냄새가 감소하였다는 체험담도 많은것으로 보아 전혀 효과가 없다고 할 수는 없을것 같습니다.

 

반면에 생식이 반려동물뿐만 아니라 사람에게도 위험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동물사양관리부 버크홀더 박사(William J. Burkholder, DVM, Ph.D)는 조리되지 않은 생식에는 반려동물에게 치명적인 건강상의 위해를 가할수 있는 물질이 포함될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생고기와 뼈, 장기등에는 식중독을 유발하는 병원균외에 바이러스, 기생충등이 있을수 있지만 특히 살모넬라균, 리스테리아균등 2가지는 동물뿐 아니라 사람에게도 위험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salmonella-25bffd97.jpeglisteria image3.JPG  

                                    < Salmonella >                                               <Listeria>

살모네라균은 섭씨 60℃ 이상에서 10분이상 70℃ 이상에서 1-2분이상 가열해야만 죽게되며 섭취시 12-36시간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급격한 발열, 구토, 설사(혈변도 가능), 식욕부진등을 보일수 있습니다.

 

리스테리아균은 임산부의 유산(流産)을 일으키는 병원균으로 영하의 냉동실에서도 증식이 가능해 냉동실에 저장된 생식재료에 의해 다른 식품에도 오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로 미국에서 해마다 1600명정도의 감염환자가 발생하며 식중독 사망원인 3번째에 꼽히기도 합니다. 감염시 구역, 구토, 설사, 복통등을 유발하며 임산부와 어린이 및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등에게는 생명에 치명적이기도 합니다. 

 

생식에 있어 또하나의 커다란 위험은 가금류 혹은 소, 돼지등의 뼈를 통째로 급여하는 경우입니다. 닭이나 오리의 뼈는 상당히 날카로워 반려동물이 섭취도중 치아의 손상 및 소화기관의 파열도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반려동물에게 생식을 급여한다면 다음과 같은 사항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ucm368732.png

1. 생식을 만지거나 생식을 담았던 용기들을 만지고 난 후 반드시 비누를 이용하여 손을 닦으시길 바랍니다. 사람이 박테리아에 감염된 대부분의 경우가 오염된 손을 무심코 입에 가져가기 때문입니다.

2. 생식을 담았던 용기 및 생식이 닿았던 부분을 깨끗히 닦고 소독합니다.

3. 고기나 가금류는 반드시 냉동보관하며 해동시엔 냉장고 및 전자레인지를 이용합니다. 절대 싱크대 위에서 해동하지 않습니다.

4. 고기나 가금류 및 생식재료들을 손질할 땐 상당히 주의하십시오. 날고기의 육즙에 들어있는 박테리아가 다른 음식 및 표면에 퍼질 수 있습니다.

5. 생식과 다른음식은 반드시 분리하여 보관합니다.

6. 먹고 남은 생식은 즉시 포장하여 냉동시키거나 안전하게 버립니다.

7. 반려동물과 입맞춤 및 보호자의 얼굴을 핥지 못하게 하며 특히 생식을 먹고난 직후엔 절대로 금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 그런 행동을 했다면 즉시 손과 얼굴을 깨끗히 씻어내야 합니다.

8. 반려동물 및 보호자는 반드시 정기적으로 구충제를 복용합니다.

 

약사 강병구

대한동물약국협회 학술이사

대전삼성약국/대전삼성동물약국

pi****님 포함 4명이 추천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 글루텐이 강아지에게 미치는 영향글루텐이 강아지에게 미치는 영향
    • 스우
    • 조회 수 8297
    • 14.09.05.03:15
    1. 글루텐은 무엇인가요? 글루텐은 주로 밀에 존재하는 단백질입니다. 물론 호밀이나 보리 등 다른 곡물의 낱알에도 존재하니 곡물(=grain)에 존재하는 단백질 중 한가지정도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barley rye oats w...
  • 스피노새드 ~ 먹는 외부기생충약스피노새드 ~ 먹는 외부기생충약
    스피노새드 ~ 반려동물용으로 먹을 수 있는 외부기생충약 겨울이 지나고 날이 따뜻해지면서 어느덧 벌레들이 스믈스믈 기어 나오기 시작하는 하절기가 되었습니다. 이때 쯤 되면 반려동물 보호자분들의 관심거리 중에...
  • Toxocara canis(개회충)와 Toxocariasis(내장유충이행증)Toxocara canis(개회충)와 Toxocariasis(내장유충이행증)
    Toxocara canis(개회충)와 Toxocariasis(내장유충이행증) Toxocara canis dog roundworm(개회충)으로서 전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고 암수가 딴몸이며 성충이 되면 9~18cm까지 자라고 색깔은 yellow-white입니다. 최종...
  • 여름철 외부기생충에 대처하는 우리들의 자세여름철 외부기생충에 대처하는 우리들의 자세
    추운 겨울이 지나고 따뜻한 햇살이 가득한 봄과 여름이 다가오면 많은 반려인들이 반려동물과 함께 야외 활동이 많아지게 됩니다. 이때 가장 큰 골칫거리가 바로 외부기생충입니다. 각종 알러지와 소양증을 유발하는 ...
  • 우리 아이의 첫 임신, 당황하지 말아요. 임신부터 출산까지 1부/3부우리 아이의 첫 임신, 당황하지 말아요. 임신부터 출산까지 1부/3부
    • 스우
    • 조회 수 7168
    • 15.12.05.22:04
    사람과 동물은 유한한 존재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습니다. 모든 유한한 존재들은 자신의 종을 무한히 이어가기 위해 본능적으로 번식을 갈구하게 됩니다. 이 종족보존의 본능은 임신과 출산이라는 것으로 목적을 이...
  • 강아지 귓병 예방을 위한 올바른 귀의 세정방법 안내강아지 귓병 예방을 위한 올바른 귀의 세정방법 안내
    말티즈, 푸들, 시츄, 슈나우저, 코카스파니엘 과 같이 귀가 덮여 있거나 귀털이 빽빽하게 귀안에 있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아이" 라는 표현에 익숙하지 않은 저를 용서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아이들이 귓병도 자주 ...
  • 자가 접종, 어떤 장단점이 있나요?자가 접종, 어떤 장단점이 있나요?
    • 스우
    • 조회 수 7035
    • 13.10.05.09:18
    미국에서 유행하던 셀프메디케이션이 이제는 서서히 한국으로도 넘어오고 있습니다. 백신 접종은 병원에서만 이루어지던 것이었는데 이제는 자가접종이 보편화되어서 많은 보호자분들께서 직접 자신의 아가들에게 백...
  • 항진균제 'Griseofulvin' 에 대하여항진균제 'Griseofulvin' 에 대하여
    최근 대한뉴팜에서 새롭게 출시한 항진균제 '풀비신 과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풀비신 과립은 Griseofulvin 성분의 항진균제로 개의 피부진균증 예방 및 치료로 허가받은 약물입니다. Griseofulvin은 정진균성 약...
  • 우리 고양이가 털을 토했어요!(헤어볼)우리 고양이가 털을 토했어요!(헤어볼)
    • 스우
    • 조회 수 6838
    • 14.01.20.13:27
    고양이를 키우시다 보면 가끔 고양이가 털을 토해낼 때가 있습니다. 오늘은 그 털뭉치.. 헤어볼이라고 부르는 그것에 관한 글을 쓰겠습니다. 고양이는 그루밍이라고 하는 사람이나 개와는 다른 특이한 습성이 있습니...
  • 개 아토피(canine atopic dermatitis)에 필요한 핵심 영양소 3가지개 아토피(canine atopic dermatitis)에 필요한 핵심 영양소 3가지
    개 아토피는 알러지를 유발하는 항원(집먼지진드기, 벼룩, 음식, 꽃가루, 털 비듬 등)에 노출되어 과도한 면역반응의 결과로 심한 가려움증 및 피부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만성적이며 유전적인 성향이 강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