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차크라
  • 조회 수 11826

이번에 구충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충제를 먹어야하는 시기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아이들 키우는 보호자분들도 이제는 반려라는 단어를 많이 쓰고 있습니다.

이제는 같은 식구로서 구충제도 같이 먹어야한다는 의미도 되겠죠?

대부분 사람들은 상식적으로 봄 가을이 되면 구충제를 먹어야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년에 한번도 안 먹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보통 아이들을 분양 받으면서 백신접종, 심장사상충, 구충제 복용에대해 듣게되고 잘 지키는 보호자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보호자도 있습니다.

 

그러면 구충제는 언제 얼마나 먹여야 할까요?

 

기본적으로 세가지로 분류가 되는데 내부구충제, 외부구충제, 심장사상충약이 있습니다.

내부구충제는 잘 알려진 회충, 편충, 십이지장충, 분선충같은 선충류, 촌충류, 지알디아같은 원충류, 디스토마같은 흡충류등을 잡아주는 약입니다.

아이들이 태어나면 아이들 건강상태, 환경에 따라 달라질수 있지만 생후 15일부터 구충(내부구충제)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그 시기를 잊고 지나갔어도 2개월 마다 규칙적으로 체중에 맞추어서 먹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론 태어난 환경이 깨끗하지 않다면 1개월마다, 특정 기생충에 감염이 되면 3일 연속, 1주에 한번씩 두 번 투여등 먹이는 방법이 달라 질수 있습니다.

11_-Ancylostoma-adults(고양이구충대용).jpg

 외부구충제는 벼룩, 진드기, 옴, 진드기, 파리, 모기 등을 구충해 줍니다.

내부구충제보다는 보호자 분들이 조금은 등한시 하고 있습니다만 사람에게 직접적으로 피해를 주기 때문에 이또한 같이 병행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통 6주령이후에 매월 1회 해주는 것이 좋으며 바르는 것에서 뿌리는 것까지 비용과 용도에 따라 고르면 됩니다.

 Phlebotomus_spp 모래파리속.jpg

  심장사상충약은 가장 중요한 반려동물(개, 고양이) 약입니다.

6주령이후부터 월 1회 투여를 해줍니다. 개를 예로 들면 실외견, 실내견은 생활하는 온도가 다르기 때문에 다르게 투여하기도 합니다. 실내온도가 14℃이상인 곳에서는 매달 투여를 하고 실외에서는 14℃가 넘는 4월에서 11월까지는 매달, 14℃이하인 겨울엔 예방차원에서 투여하기도하고 안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보호자가 되었다면 백신접종과 더불어 내부구충제, 외부구충제, 심장사상충약까지는 기본적으로 관리를 해야한다는 의미가 되겠죠?

 

그리고 인수공통기생충병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동물의 기생충이 사람에게도 옮겨지고 병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을 말하는데요. 같은 실내에서 실외에서 잦은 접촉으로 생활을 하게 되므로 반려동물의 구충계획도 중요하지만 이제는 보호자도 같이 구충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Ixodes_ricinus개참진드기.jpg

 동물과 생활하거나 채소를 자주 섭취하는 사람은 봄․가을보다는 더 자주 복용을 하는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면 계절마다 3개월에 한 번씩 드시거나 환경이 열악하거나 필요성을 느낄 때는 2개월에 한번씩 반려동물과 같이 복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제는 가까운 약국에 가시면 동물약을 취급하는 동물약국이 많이 있습니다. 동물약국에서는 기생충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구충제를 선택할 수 있게 도와드리며 구충계획을 상담받을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보호자분들의 구충제를 동시에 구입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기 때문에 동물약국을 통해서 반려동물과 보호자들의 건강을 동시에 지켜보시기 바랍니다.

Mmo님 포함 3명이 추천

추천인 3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 반려동물 등록제에 사용되는 내장형 마이크로칩의 허상-부작용에 대한 책임은 누가?반려동물 등록제에 사용되는 내장형 마이크로칩의 허상-부작용에 대한 책임은 누가?
    반려동물 등록제에 사용되는 내장형 마이크로칩의 허상<부작용에 대한 책임은 누가?>동물약사 임진형(Pharmacist)대한동물약국협회 회장아포동물약국 대표약사(http://cafe.daum.net/apoanimal)팜아카데미 동물용의약...
  • 새로운 아토피, 알레르기 질환 완화제 아포퀠(oclacitinib) 에 대하여새로운 아토피, 알레르기 질환 완화제 아포퀠(oclacitinib) 에 대하여
    아포퀠(성분명:oclacitinib) 은 개의 아토피, 알레르기 피부질환에 의한 소양증(가려움증) 완화제입니다. 이미 외국에서는 수년전부터 사용되고 있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저번 달(2016년 11월 3일)에 정식 허가를 받...
  • 내부구충제, 올바르게 복용시키고 계신가요?내부구충제, 올바르게 복용시키고 계신가요?
    • 스우
    • 조회 수 13447
    • 15.02.25.21:05
    대부분의 동물보호자, 아니 거의 모든 동물보호자들은 내부구충제에 대하여 정확하게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너무나도 저렴한 가격으로 이윤이 남지 않았기 때문인지, 많은 판매자들(수의사, 도매상, 약사)은 외부구...
  • 펫로스(Pet Loss) 증후군의 증상과 대처펫로스(Pet Loss) 증후군의 증상과 대처
    <초롱이> 얼마전 제 동생이 기르는 초롱이가 많이 아프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강아지 두마리를 유기견 보호소에서 데려와키운지 벌써 십여 년, 이제 초롱이의 나이도 많고 아픈 곳이 많아서 병원에서도 특별히 해줄...
  • 심장사상충예방약 겨울에도 먹여야 하나요?심장사상충예방약 겨울에도 먹여야 하나요?
    " 약사님 겨울엔 심장사상충약 안먹여도 괜찮죠? " " 우리애는 집안애만 있는데 사상충약 안먹여도 돼죠? " " 심장사상충약이 간에 안좋다는데 계속 먹여야 하나요? " 겨울철 동물약국에 방문하시는 보호자분들이 가...
  • <사랑하는 우리 강아지의 비만에 대하여><사랑하는 우리 강아지의 비만에 대하여>
    며칠전 말티즈가 설사한다고 약을 지으러 오신분이 있었어요. 약을 드리려고 체중을 물어보니 5.5kg라고 하시더군요. 말티즈가 체중이 5킬로를 넘어가는 경우를 처음 봐서 보호자분께 이정도면 체중을 신경 써야 한다...
  • 밀베마이신(milbemycin oxime) 총정리 및 MDR1 gene mutation밀베마이신(milbemycin oxime) 총정리 및 MDR1 gene mutation
    • 스우
    • 조회 수 14482
    • 14.05.16.11:56
    밀베마이신은 동물보호자로써 심장사상충약을 선택하려고 인터넷을 뒤지다 보면 가끔씩 접하게 되는 약입니다. 밀베마이신의 생김새 특히 콜리 보호자분들이라면 잘 아실만한 약이고 기타 건강에 대해 우려가 되는 경...
  • 개, 고양이 간보조제 선택요령 및 제품별 성분비교개, 고양이 간보조제 선택요령 및 제품별 성분비교
    안녕하세요 인천시민약국(인천동물약국)정약사 입니다. 제가 동물약국을 운영하면서 질문이 많이 들어오는 것 중 하나인 "약사님 간보조제는 어떤것이 좋은가요?" 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간단히 정리해 보고자 합니...
  • 반려견 눈물자국의 진실반려견 눈물자국의 진실
    하얀색 털을 갖고 있는 강아지들 중에 눈 밑에 심한 눈물자국을 갖고 있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을뿐더러 아이에 따라 불쾌한 냄새를 동반하는 경우도 많으며 눈 밑에 항상 젖어있어 세균이나...
  • 내부기생충의 분류와 구충범위내부기생충의 분류와 구충범위
    약국을 하다 보면, 기생충의 종류와 구충제의 종류에 따른 구충범위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계신분들이 간혹 있습니다. 전문가가 아닌이상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기생충은 그냥 기생충으로 묶여서 불리거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