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다음 아고라에 서명운동 부탁드립니다.

=> http://bbs3.agora.media.daum.net/gaia/do/petition/read?bbsId=P001&articleId=151382&objCate1=1&pageIndex=1



안녕하세요. 대한동물약국협회 회장 임진형 입니다.


'길천사들의 행복수업'이라는 책은 항에서 약국을 운영하시는 최복자 약사님이 자비와 열정을 털어 7년 넘게 일궈낸 유기견 보호소의 일상을 그린 책이며 교보문고에서 베스트셀러에 등극될 정도로 인기가 높았습니다.


431c12358d1509b47e99610e24c6316f.jpg  


제가 강의를 다니면서 동물보호단체나 수의사로부터 약사가 동물보호를 위해 한 일이 뭐가 있느냐는 질문을 심심찮게 받았는데 포항에 가보니 실제 약국을 운영하시면서 번 돈으로 불쌍한 유기견들을 구조하고 이들을 기르는 유기견 보호소까지 하고 계시는 약사님이 계셨습니다. 


이 분이 바로 최복자 약사님이십니다.


이 유기견 보호소는 최약사님의 끈질긴 노력과 열정으로 포항시에서 지원을 받아 운영하는 공적인 보호소가 되었으며  '한국동물테마파크(http://cafe.daum.net/Katp)'로 이름 짓고 지금은 동물보호단체로 유명한 KARA(카라)보다도 훨씬 더 많은 유기동물을 입양시켜주는 동물학대와 유기견 문제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기관이 되었습니다.

(KARA의 한 해 입양보낸 동물의 수:400여 마리, 한국동물테마파크 580여마리)


최약사님의 열정은 널리 알려져 얼마 전 대구방송TBC에서도 유기견 문제 관련해서 다큐멘터리를 찍어 방송을 하기도 했습니다.


약사로서 이런 분이 계시다는 것이 자랑스러웠고 저 또한 최약사님으로부터 많은 감동을 받고 힘을 얻었기에 지금까지 동물약국협회를 운영할 수 있었는데...


tbc반려동물보고서10.png



<한국동물테마파크에서 구조한 유기견>


그런데 돌연 최 약사님께서 제가 힘들다는 문자를 보내왔고 뒤이어 포항시청에 유기견보호소를 폐쇄하겠다고 공문을 보내셨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최복자약사님 공문.tiff


유기견 보호소가 운영하기 위해서는 약사의 약물학적 지식도 중요하지만 수의사의 진료가 무엇보다 절실합니다. 테마파크에는 6명의 수의사분들이 돌아가며 봉사를 하시면서 테마파크에서 입양보낸 아이들에게 저렴한 진료비로 치료를 해주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를 시기한 다른 동물병원들이 진료비 기준이 무너진다며 테마파크에 봉사하시는 6명의 수의사들에게 압력을 넣기 시작했고 급기야 2명의 젊은 수의사 2분이 미안하다며 관두게 되었습니다. 


유기견을 보호하고 치료해줘야 할 사회적 책무가 있는 수의사회는 되려 포항시에서 유기견 보호에 사용하는 지원금이 너무 많다며 시청에 항의를 하기 시작했고 급기야는 최약사님이 시 지원금을 뒤로 빼돌린다는 헛소문을 퍼트리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이들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테마파크에서 입양받아 치료받으러 간 동물보호자에게 '테마파크'의 동물들은 피부도 좋지않고 전반적으로 상태가 나쁘다고 얘기해 결국 보호자로 하여금 다시 테마파크로 파양하게 만들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한 얘기를 뒤늦게 듣게 된 최약사님이 포항시수의사회 총회에 참석해 오해가 있음을 얘기했으나 결국 끌려나오게 되었고 수의사 원로에게 별도로 통화를 시도했으나 일언지하에 거절당했습니다.


포항의 동물병원 중에는 개 경매장에서 물건처럼 개를 싸게 사다가 분양하는 동물병원들이 많습니다. 유기견을 실제 구조하다보면 대부분이 질병을 앓고 있어서 버려진 경우가 많은 데 과연 수의사라는 직능이 한 해 10만마리가 버려지는 현실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까요?




오늘 하루 손이 떨려 일을 할 수가 없더군요.


동물약국은 약사의 직능이며 동물약국을 통해 진료비 부담으로 인해 버려지는 동물이 최소한의 치료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때문에 동물약국을 운영하는 최약사님의 테마파크는 유기동물에게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장소입니다. 



이 글을 널리 알려 포항의 한국동물테마파크가 폐쇄되는 일을 막아주세요~


테마파크가 폐쇄되는 순간 500여마리의 불쌍한 동물은 모두 안락사시켜야 합니다. 







pi****님 포함 1명이 추천

추천인 1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 [반려동물과 음식상호작용 01] 짜장면집 강아지는 양파를 많이 먹을텐데, 괜찮은 이유가 뭘까? 양파와 반려동물에 관한 진실[반려동물과 음식상호작용 01] 짜장면집 강아지는 양파를 많이 먹을텐데, 괜찮은 이유가 뭘까? 양파와 반려동물에 관한 진실
    • 玄雨
    • 조회 수 16565
    • 14.10.17.01:16
    안녕하세요~ 지금부터 시리즈별로 반려동물과 음식상호작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가 동물약을 공부하면서 음식주의할것에 대해 읽은게 있는데 대부분이 카더라 이고, 정확한 근거가 없어서 이번에 확실히 정리하...
  • 내부기생충의 분류와 구충범위내부기생충의 분류와 구충범위
    약국을 하다 보면, 기생충의 종류와 구충제의 종류에 따른 구충범위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계신분들이 간혹 있습니다. 전문가가 아닌이상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기생충은 그냥 기생충으로 묶여서 불리거나, ...
  • 반려견 눈물자국의 진실반려견 눈물자국의 진실
    하얀색 털을 갖고 있는 강아지들 중에 눈 밑에 심한 눈물자국을 갖고 있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을뿐더러 아이에 따라 불쾌한 냄새를 동반하는 경우도 많으며 눈 밑에 항상 젖어있어 세균이나...
  • 개, 고양이 간보조제 선택요령 및 제품별 성분비교개, 고양이 간보조제 선택요령 및 제품별 성분비교
    안녕하세요 인천시민약국(인천동물약국)정약사 입니다. 제가 동물약국을 운영하면서 질문이 많이 들어오는 것 중 하나인 "약사님 간보조제는 어떤것이 좋은가요?" 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간단히 정리해 보고자 합니...
  • 밀베마이신(milbemycin oxime) 총정리 및 MDR1 gene mutation밀베마이신(milbemycin oxime) 총정리 및 MDR1 gene mutation
    • 스우
    • 조회 수 14472
    • 14.05.16.11:56
    밀베마이신은 동물보호자로써 심장사상충약을 선택하려고 인터넷을 뒤지다 보면 가끔씩 접하게 되는 약입니다. 밀베마이신의 생김새 특히 콜리 보호자분들이라면 잘 아실만한 약이고 기타 건강에 대해 우려가 되는 경...
  • <사랑하는 우리 강아지의 비만에 대하여><사랑하는 우리 강아지의 비만에 대하여>
    며칠전 말티즈가 설사한다고 약을 지으러 오신분이 있었어요. 약을 드리려고 체중을 물어보니 5.5kg라고 하시더군요. 말티즈가 체중이 5킬로를 넘어가는 경우를 처음 봐서 보호자분께 이정도면 체중을 신경 써야 한다...
  • 심장사상충예방약 겨울에도 먹여야 하나요?심장사상충예방약 겨울에도 먹여야 하나요?
    " 약사님 겨울엔 심장사상충약 안먹여도 괜찮죠? " " 우리애는 집안애만 있는데 사상충약 안먹여도 돼죠? " " 심장사상충약이 간에 안좋다는데 계속 먹여야 하나요? " 겨울철 동물약국에 방문하시는 보호자분들이 가...
  • 펫로스(Pet Loss) 증후군의 증상과 대처펫로스(Pet Loss) 증후군의 증상과 대처
    <초롱이> 얼마전 제 동생이 기르는 초롱이가 많이 아프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강아지 두마리를 유기견 보호소에서 데려와키운지 벌써 십여 년, 이제 초롱이의 나이도 많고 아픈 곳이 많아서 병원에서도 특별히 해줄...
  • 내부구충제, 올바르게 복용시키고 계신가요?내부구충제, 올바르게 복용시키고 계신가요?
    • 스우
    • 조회 수 13446
    • 15.02.25.21:05
    대부분의 동물보호자, 아니 거의 모든 동물보호자들은 내부구충제에 대하여 정확하게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너무나도 저렴한 가격으로 이윤이 남지 않았기 때문인지, 많은 판매자들(수의사, 도매상, 약사)은 외부구...
  • 새로운 아토피, 알레르기 질환 완화제 아포퀠(oclacitinib) 에 대하여새로운 아토피, 알레르기 질환 완화제 아포퀠(oclacitinib) 에 대하여
    아포퀠(성분명:oclacitinib) 은 개의 아토피, 알레르기 피부질환에 의한 소양증(가려움증) 완화제입니다. 이미 외국에서는 수년전부터 사용되고 있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저번 달(2016년 11월 3일)에 정식 허가를 받...